여수 개요
여수를알자
우리가 살고 있는 여수를 당신은 얼마나 알고 있나요?
이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을 보면 오래 전 신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음을 유추할 수 있지만, 지금은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본토인들 보다 외부인(이방인들)이 더 많이 거주하면서 여수 역사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이 약하다. 역사에대한 주민들의 관심 부족으로 개항 100년(2023년)에 임박한 여수항이 축소되고 광양항에 예속되면서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70년이지나도록 여순사건(1948.10.19 발생, 공식통계 2천여 명 사망)의 진상은 베일 속에 잠들고 있다.
1. 여수의 어원
작은 마을인 ‘고으리’라고 불리었으나, 고려 왕건이 삼국을 통일(935년)하고 전국을 순행할 때 ‘이곳은 인심이 좋고 여인들이 아름다운데 그 이유는 물이 좋기 때문이다’ 하여 여수(麗水)라고 하였다 한다.
2. 여수의 문화
신석기시대(BC6,000~BC1,000년)의 대표적인 유물인 덧무늬 토기가 안도패총(貝塚, 조개 무덤)에서 발견됨으로써 신석기시대부터 여수지역에사람이 살았음을 짐작하게 된다. 이 지역에 산재한 수 많은(약 1,700개) 지석묘(支石墓, 고인돌)에서는 청동기시대(BC300년~AD300년) 유물이발견되었고 백제시대(BC18년~AD660년)에 축조된 고락산성, 자산산성 등에서는 가야시대(AD42~562)의 유물이 출토 됨으로써 이 지역은 청동기시대를 거치면서 가야문화권에 속하였음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석창 4거리에위치한 석창성(石槍城)은 백제시대와통일신라시대(668년~935년)에 이 지역의 치소(治所, 행정 사무소)로 활용되고 조선시대(1392년~1910년)에는 석창석보(石槍石堡, 돌로 쌓은 창고)로 활용되면서 그 당시의 자기 파편들도 발견됨으로써 오랜 동안 사람이 계속해서 거주하였음도 알 수 있다.
3. 여수의 행정구역
1) 삼한시대(BC1세기~AD1세기)
여수는마한(馬韓)54개 소국(小國)중에하나인 원지국(爰池國)에속함.
2) 백제시대(BC18년~AD660년) – 방(方)군(君) 현(縣) 제도
538년(성왕16년): 삽평군(揷平君.순천, 여수, 광양 지방) 아래원촌현(猿村縣. 여수반도 일원)과
돌산현(突山縣. 돌산도를비롯한 인근 섬)이 설치됨.
3) 통일신라시대(668년~935년) - 9주(州)5소경(小京) 제도
757년(경덕왕16년): 무주(武州.전라남도일원) 아래 승평군(昇平君. 순천)을 두고 그 아래해읍현
(海邑縣. 여수반도)과 여산현(廬山縣.돌산), 희양현(晞陽縣.광양)이 설치됨.
4) 고려시대(935년~1392년) – 주(州) 부(府)군(君) 현(縣) 제도
940년(태조23년): 승평군(昇平君.순천) 아래 여수현(麗水縣)과돌산현(突山縣)이설치되었으며,
여수(麗水)라는 지역이름이 처음으로시작됨.
5) 조선시대(1392년~1910년)
(1) 1396년(태조5년): 여수현과 돌산현이폐지되어 순천도호부로 편입됨.
(2) 1695년(숙종21년): 18개 면을관할하는 순천도호부에서 5개 면(여수면, 율촌면, 소라면, 삼일면, 용두면)을 분리하여 여수도호부가 신설되었으나 곧 폐지되었고, 그 후 1725년(영조1년)과 1750년(영조26년)에도 2차례 복원되었으나 모두 1년을 못 넘기고 폐지되었음.
(3) 1896년(고종33년): 돌산군이신설되고, 이듬해 1897년(고종34년) 여수군이 신설되어 4개면(여
수면, 율촌면, 삼일면, 소라면)을 관할함.
6) 일제강점기(1910년~1945년)
(1) 1914.03.01: 조선총독부는돌산군을 여수군에 통합하고 여수군 아래 10개 면(여수면, 율촌면,소라면, 삼일면, 쌍봉면, 화양면, 화정면, 남면, 삼산면, 돌산면)을 둠.
(2) 1931.04.01:여수면이여수읍으로 승격됨.
7) 건국(1945년) 이후
(1) 1949.08.13: 여수군에서여수읍을 제외한 9개 면으로 구성된 여천군이 신설되었고, 2일후인 1949.08.15 여수읍이 여수시로 승격됨.
(2) 1976.08.30:경제발전을위한 배후도시 조성을 위해 전라남도 관할 아래 여천지구출장소가
설치되면서 그 아래 삼일지소와 쌍봉지소를 둠.
(3) 1980.12.01:삼일면이삼일읍으로 돌산면이 돌산읍으로 승격됨.
(4) 1986.01.01: 여천지구출장소가여천시로 승격되면서 여천군은 1읍6면(돌산읍, 소라면, 율촌면,화양면, 화정면, 남면, 삼산면)으로 축소됨.
(5) 1989.04.01: 여수지역 3개 행정구역(여수수,여천시,여천군)인 3려가 통합하여통합 여수시가 출범함.
4. 여수의 군영(軍營)
1) 1479년(성종10년): 일본군의 북상을 봉쇄하기 위해서 군영(軍營)인 전라좌수영이 설치되고
전라좌수영산하에 5관5포 수군 군제가 편성됨. 1490년(성종21년)에 전라좌수영성(현재 군자동,
동산동, 관문동, 고소동, 중앙동일대. 길이 1014미터)이축조 되었음.
2) 1488년(성종 19년): 돌산에 방답진(防䠌鎭)이설치하고 만호장(萬戶長)을두어 바다를 지켰으며,
임진왜란때 이곳에서 거북선과 판옥선 등의 전선(戰船)을건조하였으며 3척의 거북선 중에서 1
척의기항지로 사용되었음.
3) 1593년(선조26년): 임진왜란으로 삼도수군통제영을 설치하여 이순신 장군이 3도(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수군을 통제함.
4) 1885년(고종22년): 영국군이 1885.04.15부터 1887.02.27까지 러시아의 조선진출을 견제하기
위해거문도를 불법 점령함.
5) 1895년(고종32년): 1894년 갑오개혁으로 군영이 통합되면서 전라좌수영과 돌산방답진이 모두
폐지됨.
5. 여수의 경제
여수지역은 섬유공업의 원료가 되는 면화(綿花)생산지로써 1926년도 여수군 전체 밭 면적의 67%, 전체 농가의 87%가 면화를 생산하여 그 중 절반을 일본이 가져갔다. 그에 앞서 1910년 통조림 가공공장이 설립되고 1918년 일본 어민들이 동정과종포에 거주하면서 수산업이 본격화되었다. 일제의 농작물 수탈을 위해 1929년여수신항 매립공사와 철도건설을 시작하여 1930년에는 여수와 광주 간의 광려선(光麗線)이 개통하면서 철도산업이시작되었고 여수와 일본 시모노세키 간의 정기 연락선 취항으로 해운산업도 시작되었다.
우리나라 정유공장이울산에 이어서 여수에 1969년 호남정유(현재 GS칼텍스) 공장의 준공을 시작으로 여천석유화학단지가 육성되어(2011년 제7비료공장 등 273개업체가 입주) 산단산업이 여수경제를 이끌고 있다. 2012년여수세계박람회 개최 이후 여수가 알려지면서 관광객이 계속 증가하면서 관광산업도 형성되고 있다.
6. 여수의 교육
일제강점기 시절에 일본인들이 집단 이주촌을 형성하여 동정과 봉산동 주변에 거주하면서 주로 어업에 종사하였으며 1911년 여수에 여수공립심상학교(현재 동초등학교)를 설립하고 1915년에는 거문도에1919년에는 안도에 공립심상학교를 설립하였다. 당시 한국인을 위한 학교로 1911년 7월 여수공립보통학교를 진남관에서 개교하여 1935년 서교동 현재 서초등학교로 건물을 신축 이전하였다. 1920년대에여수지역에 다수의 청년운동 단체가 조직되어 대중운동을 하면서 노동운동과 사회주의 계열단체들이 많았으나 맞돕회, 여수청년회등은 반일사상을 고취하면서 노동야학을 통하여 민중을 계몽을 하였다.
7. 여수의 항만
여수바다는 여수반도와 남해도 사이에 넓은 바다와 깊은 수심을 확보하면서 넓은 바다와 깊숙한 내륙에 위치한 컨테이너부두, 광양제철소, 하동화력발전소 등을 연결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는 천혜의여건을 갖추고 있다. 지금부터 100년 전인 1918년에 여수항이 해면 지정항(해면 이용을 위해서는 허가를 받아야하는 항)으로 지정되었고, 1923년 6월1일 여수항으로 개항(외국과통상무역이 허용되는 항)되었다. 여천지역의 산업단지 발전에따라 여수항은 여수신항만을 남기고 1969년 삼일항(여천공단지역이 속한 항)이 분리되었다가 1986년 여수지역에소속되었던 삼일항이 광양항으로 흡수 통합되었다. 여천지역과 광양지역의 산단 산업발전과 함께 여수항은상대적으로 계속 축소되었고, 2012년 엑스포 이후 여수신항은 해양관광항으로 육성한다는 항만정책에 따라무역항의 기능마저도 잃었으며 지금은 관공선과 역무선을 위한 계류목적으로 건설중인 여수신북항(2021년준공예정)과 크루즈부두만 남아있다. (GS칼텍스부두를 포함한여천지역의 모든 부두가 광양항에 소속되어 있음)
8. 여수의 산업발전과 항만
1912년 하포항이 개장되어 광양만의 중심포구 역할을 하면서 일본으로 물품이 반출되었다.
1) 여수항이 해면 지정항으로 지정(1918.08.16)
여수는 종고산을 기점으로 남쪽에 위치한 구항과 북쪽에 위치한 신항으로 구분되었으며1930년 이전에는 구항이 주항(主港)이고신항은 보조항이었다. 당시 항만은 개항(외국과 통상이 허용됨), 군항(군사적 요충지), 요항(중요한 항구), 해면 지정항(해면이용에 허가필요), 세관 지정항(개항에 준하는 무역이 허용)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1918년 ‘조선선박령’으로 여수항이 해면 지정항으로 지정되었고 1923년에는 ‘조선총독부령’으로 세관 지정항으로 지정되었다.
2) 여수항개항(1923.06.01)
1923년 여수항이 개항되었지만 항만시설의 거의 없었다. 1925년 총독부와 전라남도의 기금보조로 여수 구항에 잔교(배를댈 수 있도록 부두에 설치한 구조물)와 물양장(소형선박이접안하는 부두)이 설치되었으며, 여수신항은 1929년 매립공사가 착공되었고 오동도 방파제는 1935년 기공하여 4년 뒤 건설되었다. 실제적인 항만의 역할은 광려선 철도가 개통되고신항공사가 마무리되어 여수와 시모노세끼간의 정기 연락선이 취항한 1930년부터 시작되었다.
3) 여수산업단지 조성과 삼일항 개항(1969.04.14)
경제개발계획에 따라 1966년 여수지역에 정유공장 건설계획이 발표되었다. 1967년 호남정유(현재 GS칼텍스) 공장건설공사를 시작으로 1969년 2월 사포리에 해저 파이프를통한 원유 입출하 시설인 SBM(Single Buoy Mooring)를 설치하여 동년 6월 3일 호남정유공장이 가동하면서 1964.04.14 삼일항이 개항되었다.
4) 여수산업단지 발전과 여천항 확장(1979.08.27)
여수산업단지의 동쪽에 제7비료공장의 비료수송을 위한 중흥부두가 1976년 11월 완공되고 석유화학제품의 수송을 위한 중흥석유화학부두가 1979년 5월 완공되면서1979.08.27 삼일항이 여천항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확장되었다.
5) 광양산업단지 조성과 광양항 개항(1986.12.05)
1981년 11월 제2제철소 공장위치가 아산만에서 광양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그에 따라 1982년 9월 광양항 금오도와 태인도 앞바다의 공유수면 매립작업을시작하여 1987년 5월 광양제철소 제1기가 준공되었다. 여천공단이 활성화되고 광양제철소가 건설되면서 1986.12.05 광양항이 여수지역의 여천항까지 흡수 확대하여 개항하여 1종항으로지정되었다. 이때부터 여수행정구역에 속한 여수산단의모든 부두가 여수항이 아닌 광양항에 속하게 되었다.
6) 하동항 항로고시(1996.12.26)와하동항 고시(2011.03.09)
1997년 12월 하동화력발전소가 가동되면서 지리적 여건으로 하동화력발전소에 석탄을 운송하는 선박이 여수항과 광양항를 통과하게됨에 따라 1996.12.26 하동화력발전소 인근지역을 광양항 항계밖 시설로 항로고시를 하였다가 경상도주민의 반발로 폐지되었고 2011.03.09 하동항을 무역항으로 고시하였다.